임괘와 간담계 건강의 상응 관계주역(周易) 64괘 가운데 제19괘인 지택림(地澤臨)은 ‘내려다보다’, ‘임하다’라는 뜻이다. 상괘(上卦)는 땅(地), 하괘(下卦)는 못(澤)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위와 아래가 서로 교감하고 조화를 이루는 상징으로, ‘위의 존재가 아래를 살피고 돌본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러한 임臨)의 상징은 동양의학적 시각에서 매우 흥미로운 함의를 지닌다. 간담계(肝膽系), 즉 간(肝)과 담(膽)의 생리적 기능은 감정의 순환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 간은 혈액을 저장하고 기(氣)의 흐름을 주재하며, 담은 담즙을 저장하고 배설을 조절하는 한편 결단력과 판단력을 주관한다. 감정이 울체 되거나 담즙의 흐름이 정체될 경우, 이른바 ‘울화(鬱火)’ 혹은 ‘담체(痰滯)’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6. 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