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26. 산천대축(大畜)괘로 보는 정기 축적(에너지보존, 체력비축, 회복기)

대축괘가 말하는 ‘멈춤의 지혜’산천대축(大畜)은 《주역》 26번째 괘로, ‘큰 것을 기른다’는 뜻을 지닌다. 하괘는 산(山), 상괘는 천(天)으로 구성되며, 하늘의 기운을 산이 머금고 멈추어 축적하는 형상이다. 흘러가는 대세를 무조건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잠시 멈추고 정기를 비축함으로써 더 큰 도약을 준비하라는 메시지를 품고 있다. 즉, 산천대축이 상징하는 핵심은 ‘성급한 움직임보다 축적의 가치’이며 이는 신체적 건강 관리에도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현대인의 생활은 빠르게 순환하고 반복된다. 과로, 수면 부족, 불규칙한 식사, 과한 스트레스 등은 몸의 에너지 탱크를 빠르게 소모시킨다. 이때 산천대축의 철학을 적용하면, 무리한 추진이 아니라 충분한 양생(養生)과 기력 축적이 우선되어야 한다. 보약 복용,..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15. 03:15
25. 천뢰무망(無妄)괘의 무의식적 건강관리(충동적 습관, 급성질환, 면역)

하늘과 우레의 괘상, 무망(無妄)의 본뜻천뢰무망(天雷無妄)은 하늘 위에 우레가 있는 괘로, ‘거짓됨이 없고 본연의 순수한 도리를 따른다’는 의미를 지닌다. 《주역》에서 무망괘는 “진실함을 지키면 허물이 없다(無妄之往, 吉)”라 하여, 순리에 따른 자연스러움이 길함을 만든다고 전한다. 이 괘는 의학적으로 해석하면 인체의 자연 면역과 자생력을 상징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 자연의 질서를 거스르는 충동적 행위나 무의식적 습관은 ‘무망의 덫’으로 작용하여 급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무망괘는 단순히 ‘거짓 없는 삶’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순리에 맞게 작동하는 상태, 다시 말해 건강의 균형을 지키는 무의식적 지혜를 의미한다. 1. 충동적 습관과 급성질환무망괘의 괘상은 ‘하늘(乾)이 위에, 우레(震)가 ..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14. 03:21
23. 산지박괘(剝卦)로 보는 체력저하와 뼈 건강(노쇠, 골다공증, 신허)

몸이 무너질 때, 자연의 이치도 함께 말한다인체의 건강은 자연의 흐름과 닮아 있다. 《주역(周易)》의 64괘 중 박괘(剝卦)는 “껍질이 벗겨지고 속살이 드러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자연의 기운이 쇠해져 안에서부터 무너지는 시기, 즉 노쇠와 체력저하, 뼈의 약화를 상징한다. 현대 의학적으로는 골다공증, 근감소증, 피로 누적과 같은 현상으로 드러나지만, 한의학에서는 이를 신허(腎虛)의 결과로 본다. 1. 노쇠와 골다공증, 바닥으로부터의 붕괴박괘는 ‘산지박(山地剝)’이라 하여 산이 땅 위에 있는 형상을 취한다. 산은 단단하고 안정되어 있으나, 땅이 점차 침식되며 아래로부터 깎여 나가는 모습을 뜻한다. 이는 곧 기초가 무너지는 과정, 즉 몸의 근본인 신(腎)이 약해져 나머지 장부와 조직이 점차 쇠퇴하..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11. 22:19
21. 화뢰서합(噬嗑) 괘와 소화기 장애의 대응(위통, 음식적체, 급성위장염)

‘서합(噬嗑)’이 말하는 급성 소화 장애의 상징주역(周易) 64괘 중 화뢰서합(噬嗑)은 “씹어 삼킨다”는 뜻을 지닌 괘로, ‘먹는 행위’를 상징한다. 상괘(火)는 소화와 연소, 하괘(雷)는 움직임과 반응을 의미하니, 두 괘가 만나면 강력한 소화 작용과 해소의 과정이 드러난다. 그러나 동시에 그 과정 속에는 장애물(物)을 물어 부수는 고통이 따르기도 한다. 의학적으로 보면, 서합괘는 인체의 위장계, 특히 위(胃)와 비(脾)의 기능적 작용에 대응한다. 소화 불량, 급성 위통, 음식적체와 같은 증상은 마치 ‘입 안에 돌덩이를 물고 있는 것처럼’ 불편하고 막힌 상태로 나타난다. 이 괘가 떠오를 때는 단순한 음식 문제를 넘어, 기체(氣滯)와 열적(熱的) 반응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화뢰서합은 단순히..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9. 23:57
20. 풍지관(觀)괘로 보는 정신적 명상과 심신안정(명상, 안신, 신경안정)

관(觀), 내면을 비추는 거울주역(周易)의 풍지관(觀卦)은 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와 내면의 성찰을 상징한다. ‘관(觀)’이란 단순히 본다는 의미를 넘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리를 바라보는 정신적 통찰을 뜻한다. 현대 사회에서 명상과 마음 챙김이 주목받는 이유 역시 바로 이 관(觀)의 원리에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자극 속에서 우리는 흔히 불안, 긴장, 불면 등 다양한 신경적 증상을 경험한다. 풍지관은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자신의 내면을 관찰하며 심신을 안정시키는 지혜를 전한다. 1. 풍지관(觀卦)과 명상풍지관은 상괘(上卦)가 바람(風), 하괘(下卦)가 땅(地)으로 이루어진 괘이다. 이는 ‘바람이 대지 위를 부드럽게 스치는 형상’, 즉 자연의 흐름을 섬세히 느끼는 상태를 상징한다. 바람은 ..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7. 23:55
19. 지택림(臨)괘로 해석하는 간담계 건강((간기, 담즙, 감정조절)

임괘와 간담계 건강의 상응 관계주역(周易) 64괘 가운데 제19괘인 지택림(地澤臨)은 ‘내려다보다’, ‘임하다’라는 뜻이다. 상괘(上卦)는 땅(地), 하괘(下卦)는 못(澤)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위와 아래가 서로 교감하고 조화를 이루는 상징으로, ‘위의 존재가 아래를 살피고 돌본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러한 임臨)의 상징은 동양의학적 시각에서 매우 흥미로운 함의를 지닌다. 간담계(肝膽系), 즉 간(肝)과 담(膽)의 생리적 기능은 감정의 순환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 간은 혈액을 저장하고 기(氣)의 흐름을 주재하며, 담은 담즙을 저장하고 배설을 조절하는 한편 결단력과 판단력을 주관한다. 감정이 울체 되거나 담즙의 흐름이 정체될 경우, 이른바 ‘울화(鬱火)’ 혹은 ‘담체(痰滯)’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6. 23:00
이전 1 2 3 4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닉네임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