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25. 천뢰무망(無妄)괘의 무의식적 건강관리(충동적 습관, 급성질환, 면역)

하늘과 우레의 괘상, 무망(無妄)의 본뜻천뢰무망(天雷無妄)은 하늘 위에 우레가 있는 괘로, ‘거짓됨이 없고 본연의 순수한 도리를 따른다’는 의미를 지닌다. 《주역》에서 무망괘는 “진실함을 지키면 허물이 없다(無妄之往, 吉)”라 하여, 순리에 따른 자연스러움이 길함을 만든다고 전한다. 이 괘는 의학적으로 해석하면 인체의 자연 면역과 자생력을 상징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 자연의 질서를 거스르는 충동적 행위나 무의식적 습관은 ‘무망의 덫’으로 작용하여 급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무망괘는 단순히 ‘거짓 없는 삶’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순리에 맞게 작동하는 상태, 다시 말해 건강의 균형을 지키는 무의식적 지혜를 의미한다. 1. 충동적 습관과 급성질환무망괘의 괘상은 ‘하늘(乾)이 위에, 우레(震)가 ..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14. 03:21
24. 지뢰복(復)괘로 보는 생식기 회복(정기, 생식기능, 원기회복)

‘복(復)’의 의미, 잃은 기운을 되돌리다《주역(周易)》 24번째 괘인 지뢰복(地雷復)은 “되돌아옴”을 뜻한다. 하늘의 이치는 순환이며, 모든 생명은 사라짐과 회복을 반복한다. 복괘는 음양의 순환 중 양(陽)이 다시 돌아오는 시점을 상징한다. 겨울의 끝, 땅속에서 새로운 생명이 움트듯, 복괘는 쇠한 기운이 다시 살아나는 변화의 출발점이다. 한의학적으로 복괘는 ‘정기(精氣)’의 회복, 즉 생명력의 근원이 다시 충만해지는 상태를 상징한다. 정기란 인체의 생명 에너지이며, 생식기능과 원기(元氣)의 중심축이 된다. 따라서 복괘의 뜻을 인체에 적용하면, 쇠약해진 정기와 생식 기능이 되살아나는 회복의 시기로 해석할 수 있다. 1. 정기 회복의 원리복괘는 아래에 진(震: 雷)이 있고 위에 곤(坤: 地)이 놓인 형..

카테고리 없음 2025. 11. 13. 00:42
23. 산지박괘(剝卦)로 보는 체력저하와 뼈 건강(노쇠, 골다공증, 신허)

몸이 무너질 때, 자연의 이치도 함께 말한다인체의 건강은 자연의 흐름과 닮아 있다. 《주역(周易)》의 64괘 중 박괘(剝卦)는 “껍질이 벗겨지고 속살이 드러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자연의 기운이 쇠해져 안에서부터 무너지는 시기, 즉 노쇠와 체력저하, 뼈의 약화를 상징한다. 현대 의학적으로는 골다공증, 근감소증, 피로 누적과 같은 현상으로 드러나지만, 한의학에서는 이를 신허(腎虛)의 결과로 본다. 1. 노쇠와 골다공증, 바닥으로부터의 붕괴박괘는 ‘산지박(山地剝)’이라 하여 산이 땅 위에 있는 형상을 취한다. 산은 단단하고 안정되어 있으나, 땅이 점차 침식되며 아래로부터 깎여 나가는 모습을 뜻한다. 이는 곧 기초가 무너지는 과정, 즉 몸의 근본인 신(腎)이 약해져 나머지 장부와 조직이 점차 쇠퇴하..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11. 22:19
22. 산화비괘(賁)와 피부미용의 한의학 전략(미용한방, 안면침, 피부염)

아름다움의 근원, 자연의 이치에서 찾다피부미용은 단순한 외형 관리가 아니라, 신체의 내외 균형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균형을 ‘기혈의 조화(氣血調和)’로 설명하며, 피부는 그 조화의 결과를 가장 먼저 드러내는 신체의 거울로 본다. 주역(周易) 64괘 중 비괘(賁卦)는 ‘장식하다’, ‘빛나게 하다’라는 뜻을 지니며, 아름다움의 본질을 상징한다. 그러나 비괘가 단순히 겉모습의 미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속이 충실해야 겉이 빛난다(內實而外華)”는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 오늘날의 미용한방은 바로 이 비괘의 철학을 기반으로, 피부미용과 체내 균형을 함께 다스리는 전략을 제시한다. 본문에서는 비괘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의학적 피부미용 접근법과 임상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치료 방향을 살펴보고자 ..

카테고리 없음 2025. 11. 10. 23:58
20. 풍지관(觀)괘로 보는 정신적 명상과 심신안정(명상, 안신, 신경안정)

관(觀), 내면을 비추는 거울주역(周易)의 풍지관(觀卦)은 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와 내면의 성찰을 상징한다. ‘관(觀)’이란 단순히 본다는 의미를 넘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리를 바라보는 정신적 통찰을 뜻한다. 현대 사회에서 명상과 마음 챙김이 주목받는 이유 역시 바로 이 관(觀)의 원리에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자극 속에서 우리는 흔히 불안, 긴장, 불면 등 다양한 신경적 증상을 경험한다. 풍지관은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자신의 내면을 관찰하며 심신을 안정시키는 지혜를 전한다. 1. 풍지관(觀卦)과 명상풍지관은 상괘(上卦)가 바람(風), 하괘(下卦)가 땅(地)으로 이루어진 괘이다. 이는 ‘바람이 대지 위를 부드럽게 스치는 형상’, 즉 자연의 흐름을 섬세히 느끼는 상태를 상징한다. 바람은 ..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7. 23:55
19. 지택림(臨)괘로 해석하는 간담계 건강((간기, 담즙, 감정조절)

임괘와 간담계 건강의 상응 관계주역(周易) 64괘 가운데 제19괘인 지택림(地澤臨)은 ‘내려다보다’, ‘임하다’라는 뜻이다. 상괘(上卦)는 땅(地), 하괘(下卦)는 못(澤)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위와 아래가 서로 교감하고 조화를 이루는 상징으로, ‘위의 존재가 아래를 살피고 돌본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러한 임臨)의 상징은 동양의학적 시각에서 매우 흥미로운 함의를 지닌다. 간담계(肝膽系), 즉 간(肝)과 담(膽)의 생리적 기능은 감정의 순환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 간은 혈액을 저장하고 기(氣)의 흐름을 주재하며, 담은 담즙을 저장하고 배설을 조절하는 한편 결단력과 판단력을 주관한다. 감정이 울체 되거나 담즙의 흐름이 정체될 경우, 이른바 ‘울화(鬱火)’ 혹은 ‘담체(痰滯)’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6. 23:00
이전 1 2 3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닉네임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