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부 괘가 전하는 불통(不通)의 경고주역(周易) 제12괘인 천지부(天地否)는 ‘하늘과 땅이 서로 통하지 않는다’는 뜻을 지닌다. 상괘(上卦)는 건(乾)으로 하늘을, 하괘(下卦)는 곤(坤)으로 땅을 상징한다. 그러나 이 두 기운이 서로 소통하지 못하고 막혀 있으니, 천지의 도가 단절되고 만물이 순조롭게 자라지 못하는 형상이다. 이 괘는 인간 신체의 균형과 건강 측면에서 보면, 기혈(氣血)의 흐름이 막힌 상태, 즉 부통(否通)을 의미한다. 경락이 원활히 소통되지 못하면 장부 간의 기능이 단절되고, 오장육부가 각각 고립되어 조화로운 생리작용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결국 만성질환의 근본 원인으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부괘는 단순히 불길한 괘가 아니라, 몸속의 ‘불통’을 깨닫고 다시 ..
음양의 교류가 이루는 생명 조화인체의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부재한 상태를 의미하지 않는다. 동양 고전인 『주역(周易)』은 만물의 생성과 변화가 음(陰)과 양(陽)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중에서도 제11괘인 지천태(地天泰)는 하늘과 땅이 서로 소통하며 만물이 화평한 상태를 상징한다. 이는 인간의 신체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하늘의 기운(乾)이 아래로 내려오고, 땅의 기운(坤)이 위로 올라가 서로 교류하듯, 인체 또한 내부의 양기(陽氣)와 외부의 음기(陰氣)가 순조롭게 통할 때 건강이 유지된다. 오늘날의 예방의학은 이러한 주역적 통찰과 밀접히 맞닿아 있다. 질병이 발현되기 이전 단계, 즉 ‘미병(未病)’의 상태에서 균형을 회복하고 조화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지천태 괘의 상징을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