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16. 뇌지예(豫)괘로 진단하는 기분장애( 우울증, 심비허, 감정불균형)

감정의 파동과 내면의 불균형현대인의 삶은 빠른 변화와 경쟁 속에서 끊임없는 긴장과 흥분을 반복한다. 기분의 고조와 하강, 성취의 쾌감과 공허의 낙폭이 교차하며, 내면의 정서적 평형은 쉽게 흔들린다. 이러한 심리적 동요는 동양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간기(肝氣)의 울체’와 ‘심비허(心脾虛)로 이어질 수 있다. ‘간기’는 감정의 흐름을 주관하고, ‘심비(心脾)’는 정서의 안정과 기쁨의 감응을 담당한다. 감정이 과도하거나 억제될 때, 간기의 순환이 막히고, 심비가 약해져 내면의 조화가 깨진다. 이러한 내면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괘가 바로 『주역(周易)』의 뇌지예(雷地豫)이다. ‘뇌(雷)’는 움직임과 자극을, ‘지(地)’는 수용과 안정성을 나타낸다. 즉, 내면의 안정 위로 감정의 움직임이 이는 형상이다..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1. 2. 23:58
15. 지산겸(謙)괘로 보는 스트레스 해소(겸손, 감정억제, 간울해소)

겸괘(謙卦)가 전하는 내면의 조화와 순화의 길현대 사회의 속도는 인간의 마음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다. 경쟁과 성취가 미덕으로 여겨지는 시대에, 우리는 끊임없이 자신을 증명해야 한다는 압박 속에 살아간다. 이러한 긴장은 심리적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신체적으로는 두통·소화불량·불면·우울감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동양의학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간기울체(肝氣鬱滯)”라 하여, 간의 기운이 막혀 순조롭게 흐르지 못할 때 발생한다고 본다. 간은 기의 순환과 감정 조절을 맡은 기관으로, 분노·억울함·자존심 등 감정이 과도할 때 간기가 울체 되어 몸과 마음이 함께 병든다. 이때 주역(周易) 제15괘인 지산겸(地山謙)은 우리에게 의미심장한 통찰을 제시한다. “산이 땅속에 있다(地中有山)”는 괘상(卦象)은 스..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0. 31. 22:35
14. 화천대유(大有)괘와 비만의 한의학적 원인분석(과잉, 습열, 지방대사)

화천대유(大有)’의 상징, 풍요와 과잉의 경계에서현대인의 비만은 단순히 체중의 증가로 환원될 수 없는 복합 질환이다. 과잉된 영양섭취, 불규칙한 생활, 정신적 긴장, 운동 부족이 맞물리며, 신체는 스스로의 균형점을 상실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를 “비(脾)의 운화(運化) 기능 저하와 습담(濕痰)의 정체”로 설명하며, 그 뿌리는 기혈순환의 불조화에 있다. 주역(周易)의 제14괘인 화천대유(大有卦)는 “하늘 위에 불이 떠 있어 만물을 넉넉히 비춘다(天火大有)”는 뜻을 지닌다. 하늘(乾)은 강건함과 생성의 근원을, 불(離)은 밝음과 통찰의 작용을 상징한다. 즉, 모든 것이 충만하고 크게 소유되는 상태, 풍요와 성취의 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크게 가짐’은 언제나 ‘과잉’의 그림자를 동반한다. 비만은..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0. 29. 01:37
13. 천화동인(同人)괘로 본 협동의 에너지(협력, 협동에너지, 협업의 상승)

함께할 때 살아나는 생명의 호흡사람의 몸과 사회는 하나의 유기체처럼 연결되어 있다. 심장이 홀로 뛰어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고, 폐가 외부의 공기를 들이마시지 못하면 호흡은 막히듯이, 사람 또한 타인과의 연결 속에서 활력을 얻는다. 『주역(周易)』 제13괘인 천화동인(天火同人)은 바로 이 “함께함의 도(道)”를 상징하는 괘로, “同人于野亨, 利涉大川, 利君子之貞”이라 하여 “들에서 뜻을 함께하면 형통하고,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고, 군자의 바름이 유익하다”라고” 설한다. 이 괘는 단순한 협동의 권장이 아니라, 인간 내부의 ‘양기(陽氣)’가 외부와 소통하며 상승할 때 나타나는 생명적 협력의 에너지를 보여준다. 본 글에서는 천화동인괘의 괘상과 의미를 통해 ‘협동의 에너지’를 해석하고, 이를 심폐기능 강..

괘상주역의 세계 2025. 10. 28. 00:29
2. 사암침법과 육경변증의 관계(한격과 열격, 육기, 육경변증)

음양오행으로는 풀 수 없는 사암침법의 비밀사암침법을 배우는 많은 한의사들이 중도에 포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음양오행론으로 접근하면 이론과 임상이 맞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사암침법은 급만성질환, 경락병, 장부병을 구분하여 치료하는 정교한 체계이지만, 그 핵심은 음양오행이 아닌 육기와 육경변증에 있다. 장중경의 상한론과 사암도인의 육기이론이 만나는 지점에서 비로소 사암침법의 진가가 드러나는 것이다.1. 열격과 한격, 정말 필요한가?사암침법을 사용하는 학파 중에는 정격·승격 외에 열격·한격을 사용하는 곳도 있다. 화사수보(火瀉水補)나 화보수사(火補水瀉)의 원리로 경락의 한열을 직접 조절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열격과 한격만으로도 30~40%의 통증과 증상이 해결되는 경우가 많아 그 효과를 부정할 ..

맥산침법에서 보는 사암침법의 육기 2025. 10. 26. 19:37
1. 사암침법에서의 오행과 육기의 관계(주역, 육기, 육경변증)

주역에서 시작된 사암침법의 철학적 뿌리사암침법(舍巖鍼法)은 조선 중기의 명의 사암도인(舍巖道人)이 완성한 독특한 침술 체계다. 가장 한국적인 침술로 두뇌와 내장의 밸런스에 최적화된 치료법이다. 사암침법의 특징은 오행과 육기, 《주역(周易)》의 음양원리가 통합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단순히 증상만을 보고 자극하는 것이 아니다. 인체를 하나의 우주로 보고, 그 안의 기운 흐름을 조절한다”는 철학에 있다. 이는 《주역》의 음양변화론에서 출발하여 육기의 자연운행(風·寒·暑·濕·燥·火)과 관계가 있다. 오행의 상생상극 관계를 인체 내 장부운행에 대응시켜 육기를 조절하게 한 것이다. 주역으로 사암침법을 이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괘상주역의 기본적 사유 방식을 적용한다. 2. 육기의 자연철학을 인체에 접목..

맥산침법에서 보는 사암침법의 육기 2025. 10. 26. 19:00
이전 1 2 3 4 5 6 ··· 27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닉네임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